
문화비 소득공제 혜택... 알고 계신가요?수영장, 체력단련장까지 확대된 소득공제 대상입니다!! 신청 안 하면 매년 수십만 원 손해볼 수 있습니다.놓치기 전에 지금 확인해보세요. 문화비 소득공제 사업자분들은 여기 클릭!!👆️ 문화비 소득공제란? 근로소득자가 도서, 공연티켓, 박물관·미술관 입장료, 종이신문구독료, 영화티켓, 수영장, 체력단련장 등 소비한 금액에 대해서 연간 300만원 한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!! ('25년 7월 결제분 부터 적용) 적용대상 :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(총 급여의 25% 초과 사용시 가능)공제 가능 항목 : 2025년부터는 아래와 같은 항목이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:구분공제 가능 항목비고기존도서, 공연티켓, 박물관/미술관 입장료, 종이 신문구독..

여름철 지하철을 타면 너무 추워서 불편하셨던 적 있으신가요? 약냉방칸을 이용하면 한결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. 수도권 전철의 약냉방칸 위치를 알려드릴게요. 🚇 지하철 약냉방칸은 몇 번째 칸? 1호선~9호선 대부분의 열차에서 중간 칸(4~6번째)이 약냉방칸입니다.예) 10량 편성 → 5번, 6번 칸이 약냉방칸예) 8량 편성 → 4번, 5번 칸이 약냉방칸 📌 약냉방칸 확인하는 법 칸 내부 유리문 위쪽에 ‘약냉방칸’ 표시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어요.차량 내 방송에서도 약냉방칸 위치를 안내해주는 경우가 있습니다. 💡 꿀팁! 에어컨 바람에 민감하시다면 열차 탑승 전 약냉방칸 위치를 미리 파악하세요. 특히 노약자, 임산부, 어린이 동반 승객에게도 추천드립니다. 임산부 배려석 위치보기 지하철 민원..

임산부가 지하철을 안전하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‘임산부 배려석’이 운영되고 있습니다. 수도권 지하철 기준으로 어디에 있는지 알려드릴게요. 🚇 임산부 배려석은 어디에 있을까? 양 끝 칸의 끝쪽 좌석 1~2석이 임산부 배려석입니다.보통 노약자석 바로 옆에 위치해 있으며, 핑크색 좌석 스티커 또는 등받이 안내문이 붙어 있습니다.10량 기준 → 1번칸 & 10번칸 양쪽 끝8량 기준 → 1번칸 & 8번칸 양쪽 끝 📷 임산부 배려석 확인 방법 좌석 등받이에 ‘임산부 배려석’ 문구 또는 핑크색 리본 마크가 표시바닥, 기둥, 벽에도 안내 스티커가 부착돼 있습니다. 📱 유용한 서비스서울교통공사 고객센터 ☎ 1577-1234‘임산부 배려석 알림 서비스’ 제공 (일부 열차) 지하철 민원 요청하기 지하철..